Server (2) 썸네일형 리스트형 RestAssured로 인수 테스트 작성하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코드 단위에서 검증하는 것을 넘어, 실제 사용자의 입장에서 요구사항이 잘 반영되었는지 인수 테스트(Acceptance Test)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인수 테스트란?인수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기능이 구현된 후, 사용자가 기대한 대로 동작하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이다. 인수 테스트에서 인수(Acceptance)는 승인이라는 의미로, 클라이언트가 기능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단계에서 수행되는 테스트이다. 따라서 인수 테스트가 통과되면, 해당 기능이 요구사항을 만족하므로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인수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나 통합 테스트보다 더 넓은 범위를 검증하는데, 그만큼 실행 비용이 높은 편이다. 그리고 Sprin.. [Architecture] 사용자 수에 따라 시스템 설계하기 한 명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작하여 몇 백만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자.단일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모든 컴포넌트가 단 한 대의 서버에서 실행되는 간단한 시스템을 설계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웹 앱, 데이터베이스 캐시 등이 전부 서버 한 대에서 실행된다. 사용자가 늘면 서버 하나로는 충분하지 않아서 여러 서버를 두어야 한다. 웹과 모바일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버(웹 계층)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데이터 계층)을 분리하면 각각을 독립적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자료를 테이블과 열, 칼럼으로 표현한다. SQL을 사용하면 여러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그 관계에 따라 join하여 합칠 수 있다. 반대로 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NoSQL은 일반적으로 join 연산은 지원하지 .. 이전 1 다음